세 번째 이슈는 기준금리 동결할까? 내릴까?…최대 변수는 '환율' 인데요. <br /> <br />한은 기준금리가 다음 주 결정되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28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결정합니다. <br /> <br />올해 마지막 기준금리 결정인데, 현재는 동결 전망이 우세합니다. <br /> <br />원-달러 환율 상승이란 변수가 등장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내수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, 수출 증가세마저 둔화되면서 금리 인하가 필요한 상황인데, 자칫 금리 인하가 환율 상승을 더 부추길 수 있어 한은은 고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쇼크에 원-달러 환율이 지난 14일 1,407.3원까지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이건 14일 평균치이고, 고점은 1,411.3원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4월에 이란이 이스라엘을 공습하면서 환율이 1,400원까지 올랐는데, 7개월 만에 연고점을 새로 썼습니다. <br /> <br />잘 아시는 것처럼 환율이 오르면 수출에는 도움이 됩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수입물가를 올려서 지금 1%대로 내려온 소비자물가를 다시 자극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지금 우리 증시가 안 좋은데, 외국인 투자자들이 환차손 때문에 더 빠져나갈 수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우려 때문에 한은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럼 동결 전망이 우세한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현재까진 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한은 금통위가 금리 인하를 결정할 때도 한은 총재를 제외한 6명의 금통위원 중 5명은 향후 3개월간 금리가 동결될 것이라 봤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, 그때보다 환율 사정이 더 안 좋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다행히 1411.3원까지 올랐던 환율이 1,390원 초반대까지는 내려왔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4일 정부의 구두 개입이 있었고, 트럼프에 베팅하는 이른바 트럼프 트레이드도 다소 진정되면서 환율 급등세가 한풀 꺾이긴 했습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한은 금통위까지 남은 8일간 환율이 조금 더 안정세를 찾느냐가 매우 중요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한은 금통위 때 원-달러 환율이 1,351원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때 수준까진 아니더라도, 1,380원 밑으로 내려간다면, 한은의 부담이 덜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IMF, 국제통화기금은 오늘 우리나라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.2%에서 2.0%로 하향 조정하면서 금리 인하를 권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오후 방한 중인 IMF의 라훌 아난드 한국미션단장이 기자회견을 열어 우리 통화당국에 점진적인 금리 인하를 주문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은 이창용 총재는 IMF의 아... (중략)<br /><br />YTN 류환홍 (rhyuh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120171249581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